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TypeScript
- 백엔드
- docker
- 유데미
- Database
- chai
- typeorm
- Nestia
- Redis
- nestjs
- corretto
- 온라인강의
- spring
- Mocha
- restdocs
- gradle
- 도서
- terraform
- 블록체인
- java
- blockchain
- terraform cloud
- 리뷰
- ChatGPT
- 이더리움
- IAC
- 글또
- class-transformer
- mysql
- nodejs
- Today
- Total
목록spring (3)
끄적끄적

서론 백앤드를 하다보면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가 API 문서 작성이다. 필자의 경우 다른 플랫폼에서는 대부분 Swagger 를 이용해 왔는데 Spring 에서는 테스트코드를 바탕으로 api docs 를 만들어 주는 프레임워크이다. 특히나 테스트 코드를 강제할 수 있다는 부분에서 매력적으로 다가왔다. 그래서 이번에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서 적어볼까 한다. 시작하기 우선 이전 포스팅에서 구성한 멀티모듈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만들어볼까 한다. 우리의 멀티모듈 프로젝트에서 restdocs 를 사용할 부분은 api 모듈 부분이다. 이 모듈의 build.gradle 에 rest docs 에 필요한 설정들을 정의해준다. 또한 포스팅에서는 WebTesetClient 를 사용해서 작성할 예정이므로 이에대한 부분또한 추가..

서론필자는 회사에서 주로 node.js(nest.js) 기반으로 개발을 하는데 최근에 어느 신입 개발자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다가 이상한 소리를 들었다. 신입: node 는 터미널을 사용해서 만들어야 해서 더 어려운것 같아요.나: Spring 쓰면 터미널 사용 안해도 되나요?? 앱을 실행시키고 싶으면 어떻게 하나요?신입: IntelliJ 에서 다 개발 가능해요. 그냥 안에서 스타트 누르면 다 가능해요.나: 터미널에서 따로 빌드는 안하나요?? CI 는요?? 배포할 때는 필요하잖아요.신입: 굳이 할 필요 없어요. CI/CD 는 제가 만들지 않아서 잘 모르겠네요. docker 쓰면 굳이 필요 없지 않아요?나: ????????? 무슨 소리인가 싶었는데 인텔리제이에서 많은 기능을 제공해주다보니 터미널이 필요 없다는..

서론 도메인 주도 개발을 했다면 도메인별로 격리 시켜서 개발하면 편할때가 많다. 그래서 이번에 Srping Boot 를 멀티모듈을 사용해서 모노레포를 구성해보고자 한다. 우선 기본 spring boot 프로젝트를 만들어주자. 필자는 IntlliJ 유료버전을 사용하므로 이를 이용해서 구성하고자 한다. 또한 이전 포스팅 에서 corretto 를 이용해서 자바 17 을 설치했으므로 이를 이용해보자. 예제로 도메인 영역인 identity, order 모듈, 그리고 이 도메인들을 이용해서 스프링 앱을 띄우는 api 모듈까지 총 세개의 모듈을 생성할 예정이다. Spring 프로젝트 생성 이때 어차피 멀티모듈로 루트폴더는 별 의미 없으므로 dependency 는 설정하지 않고 넘어갈 것이다. 또한 이번 프로젝트는 S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