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TypeScript
- nestjs
- 글또
- ChatGPT
- Mocha
- 유데미
- IAC
- class-transformer
- 온라인강의
- 도서
- Redis
- blockchain
- Database
- chai
- mysql
- Nestia
- terraform cloud
- corretto
- java
- terraform
- gradle
- restdocs
- 리뷰
- docker
- nodejs
- 백엔드
- 블록체인
- typeorm
- spring
- 이더리움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26)
끄적끄적

[컴퓨터 밑바닥의 비밀]개발자라면 CS 지식은 지속적해서 공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. 특히나 컴퓨터 내부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이해해야 동시성과 같은 어려운 개발 상황에 처하게 되었을 때 문제 해결법에 대한 힌트를 쉽게 얻을 수 있을 것이다. 이 책은 제목 그대로 컴퓨터가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해서 설명해주는 책으로 개인적으로는 CS 관련 책 중 깊이도 있고 이해하기도 쉽게 적어놓은 것 같았다. 우선 번역이 깔끔하게 잘 되어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싶다. 가끔 기술 번역서의 번역이 잘못되어 있을 때 책을 읽는 것 자체가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전부 다 읽었을 때도 그런 느낌은 전혀 들지 않았다. 특히 CS 관련된 책의 경우 아무래도 기술적인 내용이 많기 때문에 중간중간 툭툭 끊길 ..

[화이트 해킹 101: 윤리적 해킹 기초부터 배우기!] 개발할 때 반드시 적용해야 할 부분 중 하나가 시큐어 코딩이다. 물론 기본적인 옵션인 CORS, XSS 등을 구현하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, 이러한 해킹이 가능한 원리에 대해서 항상 궁금했었다. 이 Udemy 강의는 필자와 같이 해킹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처음 접해도 쉽게 따라갈 수 있도록 만든 기초강의이다. 물론 강의가 기초 강의임에도 시간이 상당히 길었기 때문에 가볍게 들으려고 했던 필자의 기대와는 달리, 강의를 듣는 데에는 꽤 많은 개인 시간이 필요했었다. 그러나 강의가 긴 만큼 이전에 들은 다른 강의와 비교했을 때 초보자가 듣기에는 더 적합한 강의라는 생각이 들었다. 강의는 초반에 실습환경을 구축하는 것부터 시작한다. 이때 설치해..

최근에 필자가 속해있는 회사에서 nestia 를 사용하도록 서버 리펙토링을 완료했다. 참고로 nestia 란 라이브러리는 Nestjs 를 조금 더 쉽게 쓸 수 있도록 해주며 성능적으로도 훨씬 빠르게 만들어 주는 라이브러리로, 한국에 있는 개발자 분이 개발한 멋진 라이브러리다. 이전 포스팅에서 nestia sdk 에 대해서 간단하게는 남겼지만 모노레포 지원이 잘 안되는 이슈로 이는 적용 못했지만 굳이 sdk 를 쓰지 않더라도 가독성 및 생산성 면에서 훨씬 좋아지는 경험을 했기에 이번에 포스팅을 남겨보고자 한다. DTO 를 Interface 로 변경 기존에 class-transformer, class-validator 를 활용했을 때의 코드를 우선 확인해보자. 아래 코드가 왜 나오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n..